맨위로가기

랑그도크 방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랑그도크 방언은 프랑스 남부 옥시타니, 누벨아키텐, 오베르뉴-론-알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크어 방언이다. 파열음 유지, 어말 s 보존, n 삭제, 구개음화 부재, b/v 미구분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음운 체계는 라틴어와 유사하다. 쥘 롱자, 루이 알리베르, 도메르그 수미엥 등 학자들은 랑그도크 방언을 다양한 기준으로 하위 그룹으로 분류한다. 정확한 화자 수는 파악하기 어려우나, 유네스코는 약 50만 명으로 추산하며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한다. 곤충학자 장앙리 파브르가 랑그도크어 관련 인물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크어 - 아란 방언
    아란 방언은 스페인 발다란 지역에서 사용되는 가스코뉴어의 하위 방언인 오크어의 방언으로,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카탈루냐의 공용어로서 특별한 지위를 갖고 보존 및 부흥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오크어 - 오베르뉴어
    오베르뉴어는 프랑스 오베르뉴 지방에서 사용되는 오크어의 방언으로, 트루바두르들의 활동에서 기원하여 공식 문서에도 사용되었으며, 프랑스어 및 프랑코프로방스어와 구별되는 언어이다.
  • 프랑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프랑스의 언어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랑그도크 방언
언어 정보
이름랑그도크어
자기 이름lengadocian
사용 국가프랑스
사용 지역옥시타니아, 랑그도크 일대, 유럽
사용자 수약 5,000 명 (모국어 화자 기준)
언어학적 분류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이탈리아어파
어군로망스어군
하위 분류서부 로망스어군, 갈리아이베리아어, 오크어
문자 체계
문자라틴 문자
표준
표준 기관Institut d'Estudis Occitans
언어 코드
ISO 639-1oc
ISO 639-2oci
ISO 639-3oci (퇴역), lnc (랑그도크어)
글롯토로그lang1309

2. 지리적 분포

랑그도크 방언은 프랑스 남부의 3개 지역에서 사용된다. 오크어의 방언 중 하나로, 랑그도크 및 그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며, 프로방스어 등이 있는 오크어 중에서도 표준어에 가까운 위치를 차지한다고 여겨진다.

오크어 방언. 남부 방언(녹색)의 서쪽(왼쪽)이 랑그도크어 지역

2. 1. 옥시타니 (Occitanie)

옥시타니: 아베롱, 로, 타른, 타른에가론, 로마뉴 제외, 아리에주 (서부 제외), 오트가론 (생고댕 및 뮈레 구 제외), 오드, 에로, 로제르, 가르의 서부 및 북부 지역, 페누예데스.

2. 2. 누벨아키텐 (Nouvelle-Aquitaine)

누벨아키텐에서는 도르도뉴 남부, 지롱드 동부, 로에가론 북동부 2/3, 코레즈 남쪽 가장자리에서 사용된다.[1]

2. 3. 오베르뉴-론-알프 (Auvergne-Rhône-Alpes)

오베르뉴-론-알프의 바스비바루아, 랑그도크노르세벤 지역에서 사용된다.[1]

2. 4. 기타 언어

이 지역에서는 랑그도크어 외에도 가스코뉴어, 카탈루냐어, 리무쟁 방언, 오베르냐 방언, 그리고 바스크어가 사용된다.

3. 특징

랑그도크어는 오크어의 방언 중 하나로, 랑그도크 및 그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며, 프로방스어 등 다른 오크어 방언 중에서도 표준어에 가까운 위치를 차지한다고 여겨진다.

랑그도크 방언은 여러 오크어 방언과 특징을 공유하며, 중앙 방언이자 보수적인 방언이기 때문에 일부 언어학자들은 랑그도크 방언을 기반으로 한 오크어 표준화를 선호한다.[4]

3. 1. 음운

랑그도크어는 남부 프랑스 방언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발음을 유지하고 있어, 라틴어에 더 가까운 음운 체계를 보인다.

  • 7개의 모음(a, ę, e̞, i, ǫ, o̞, u)을 가지며, 이는 속 라틴어의 7모음 체계와 유사하다.
  • 비모음은 존재하지 않고, [an], [en], [ɔn]과 같이 n을 발음한다.


설명
o프랑스어의 ou [u]처럼 발음한다.
ò[ɔ]로 발음한다.
a어말의 a는 [ɔ], 다만 [a]로 발음하는 지방도 있다.
à[a], [ɔ], 또는 [e] (프로방스 지방에서)로 발음한다.



자음의 음성은 현재 프랑스어에서는 소실된 음이거나, 옛 발음을 유지하고 있으며, 프랑스어와 비교하면 자음에 관해서는 거의 완전하게 대응한다.


  • 어말 자음은 원칙적으로 발음한다.
  • 리에종, 엘리시옹도 거의 프랑스어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 파열음이 단어의 끝에 유지된다: ''cantat'' [kanˈtat] (프로방스어: [kãnˈta])[4]
  • 단어의 마지막 ''s''가 보존된다: ''los òmes'' [luˈzɔmes] (리무쟁어: [luzɔˈmej])[4]
  • 단어의 마지막 ''n''이 삭제된다: ''occitan'' [utsiˈta] (프로방스어: [usiˈtãn])[4]
  • CA 및 GA 그룹의 구개음화가 없다: ''cantar'', ''gal'' (오베르뉴어: ''chantar'', ''jal'').[4]
  • 단어의 마지막 ''l''이 보존된다(즉, 모음화되지 않음): ''provençal'' (프로방스어와 가스코뉴어: ''provençau'').[4]
  • 소리 ''b''와 ''v''를 구별하지 않음 (베타시즘): ''vin'' [bi] (오베르뉴어, 리무쟁어 및 프로방스어: [vji], [vi], [vin]).[4]


음성설명
r어말의 r은 보통 발음되지 않는다. 단, calor[kalur]「열」, flor[flur]「꽃」 등의 예외도 존재한다.
b어말의 b는 가스코뉴, 프로방스 지방을 제외하고 발음되지 않는다.
v프로방스, 리무쟁을 제외하고 [b]로 발음된다.
s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앞뒤가 모음인지 아닌지에 따라 두 가지 발음이 있다. 앞뒤가 모음인 경우 [z]로 발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로 발음한다. 예) reservar [rezɛrba]「간직하다」 rescatar [reskata]「되찾다」
g\[g], [dʒ], [tʃ]의 3가지 발음이 있다.



설명
-nh-프랑스어의 -gn- 음으로 발음한다.
-lh-[ly]로 발음한다.
-ch-[tʃ]로 발음한다.
-qu-[k]로 발음한다. (프랑스어와 동일)
-nt-/-nd-일반적으로 t, d는 발음되지 않는다.


3. 2. 악센트

기본적으로 프랑스어와 같은 원칙으로 악센트가 놓인다.[4]

  • -e, -a, -i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 악센트는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놓인다.

  •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 최종 음절에 악센트가 놓인다.

  • 이중 모음에서는 앞 모음에, 삼중 모음에서는 가운데 모음에 각각 악센트가 놓인다.

3. 3. 명사

프랑스어처럼 남성과 여성, 두 가지 성을 가진다. 프랑스어와 어원을 같이 하는 단어는 성별도 프랑스어와 일치하는 경우가 많지만, 예외도 존재한다.

  • 남성 명사의 대부분은 자음으로 끝나고, 여성형의 대부분은 -a로 끝난다.
  • 여성형이 남성형에서 만들어지는 경우, 원칙적으로 남성형 어미에 -a를 붙인다.
  • 명사를 복수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단수형에 -s를 붙이며, 이 s는 발음된다.[4] 하지만 단수형이 -s로 끝나는 단어는 -es를 붙인다.

참고: 단수형이 -ch, -g, -sc, -st로 끝나는 단어에는 -s 외에 -es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 예외) 랑그도크어: ''image'' (남성) — 프랑스어: ''image'' (여성)

3. 4. 관사

랑그도크 방언의 정관사는 다음과 같다.

단수복수
남성lo(l’) [lu]los [lus]
여성la(l’) [la]las [las]


  • los와 las는 모음이나 b, d, g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서는 [luz], [laz]로 발음된다.[4]


부정관사는 다음과 같다.

단수복수
남성un [yn]los [lus]
여성una [ynɔ]las [las]


3. 5. 접사

지소사는 "작은 모습" 외에도 애정, 연민, 기분 좋음 등의 의미를 나타내며, 사용 범위와 빈도가 크다. 대표적인 지소사로는 -et(-eta), -òt(-òta), -on(-ona), -èl(-èla) 등이 있다.

증대사는 "증대"를 의미하는 것 외에도 경멸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às(-assa), -ard(-arda) 등이 대표적인 증대사이다. 증대사의 접미사 뒤에 지소 접미사를 붙여 증대사의 의미를 경감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3. 6. 형용사

프랑스어처럼, 수식하는 명사의 성과 수에 일치한다. 형용사의 위치는 통상 명사 뒤에 위치하지만, 명사 앞에 위치하는 경우와 뒤에 위치하는 경우에 프랑스어처럼 미묘한 의미 차이는 발생하지 않는다.[4]

3. 7. 동사

랑그도크어의 동사는 직설법, 조건법, 명령법, 접속법, 부정법, 분사의 6가지 법과 능동태, 수동태, 대명태의 3가지 태를 가진다.[4] 동사 활용은 수, 인칭, 시제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 어순은 '주어 + 동사 + 보어'이지만, 주어를 생략할 수 있어 '동사 + 보어' 형태가 되기도 한다. 때로는 주어와 동사가 도치되기도 한다.

3. 7. 1. 시제

랑그도크어의 시제는 현재, 과거, 미래의 세 가지를 기본으로 하며 다음과 같이 나뉜다.

  • 현재 시제
  • 과거 시제
  • * 단순 시제: 단순 과거, 반과거
  • * 복합 시제: 복합 과거, 전과거, 중복 복합 과거
  • 미래 시제
  • * 단순 시제: 단순 미래
  • * 복합 시제: 전 미래, 중복 복합 미래


복합 시제를 만들 때는 조동사로 aver|아베르oc 또는 èstre|에스트레oc를 사용한다.

3. 7. 2. 태

랑그도크어는 능동태, 수동태, 재귀태의 3가지 태를 가진다.[1] 수동태는 조동사 'èsser'와 과거 분사 형태로 나타낸다.[1] 동사가 하나의 문장에서 동일 인칭의 두 개의 대명사와 함께 활용될 때는 재귀태이다.[1]

3. 7. 3. 법

랑그도크어의 동사는 직설법, 조건법, 명령법, 접속법, 부정법, 분사법의 6가지 법을 가진다.[1]

  • 직설법: 일반적으로 현실적이고 확실한 행위를 나타낸다. 사실을 단정적으로 말할 때 사용된다.[1]
  • 명령법: 명령, 금지를 나타내며, 2인칭 단수, 1인칭 복수, 2인칭 복수형에서만 사용된다. (3인칭에 대한 명령은 접속법을 사용하여 독립절로 나타내야 한다.)[1]
  • 조건법: 어떤 사상이 조건 하에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서법과 시제로서의 용법이 있다.[1]
  • 접속법: 종속절에 사용된다. 때로는 독립문이나 주절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주관적인 마음의 상태를 말할 때 사용되므로, 소망, 감정, 판단, 가능성에 대해 말할 때 사용되는 서법이다.[1]
  • 부정법: 동사의 원형으로 수나 인칭을 가지지 않고 막연한 부정적인 서법적 관념을 나타낸다.[1]
  • 분사법: 동사의 성질과 형용사의 성질을 가진 동사적 형태이며,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낸다.[1]

3. 7. 4. 비인칭 동사

3인칭 단수 형태로만 나타나며, 날씨, 시간,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에서 볼 수 있다. 예: plòure|비가 오다oc, tronar|천둥이 치다oc, caler|…해야 한다oc

3. 7. 5. 대명 동사

랑그도크어의 대명 동사에는 본질적 대명 동사와 우연적 대명 동사 두 종류가 있다.[1]

본질적 대명 동사는 항상 대명사와 함께 사용되지만, 우연적 대명 동사는 대명사와 함께 사용되는 형태와 그렇지 않은 형태 두 가지를 갖는다.[1]

우연적 대명 동사에는 재귀 대명 동사, 상호 대명 동사, 비재귀 동사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1]

4. 수

1부터 10까지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11]

숫자남성형여성형
1ununa
2dosdoas
3tres
4quatre
5cinc
6sièis
7sèt
8vuech
9nòu
10dès


5. 변이

랑그도크 방언은 여러 변이를 포함하며, 이에 대한 분류는 학자마다 다르다. 쥘 롱자, 루이 알리베르, 도메르그 수미엥 등이 랑그도크 방언을 하위 방언으로 분류하였다.

피에르 베크(Pierre Bec)와 도메르그 수미엥(Domergue Sumien)은 오크어의 상위 방언 분류에서 랑그도크 방언을 한두 개의 상위 방언 그룹으로 나눈다.


  • 피에르 베크는 남부 랑그도크 방언을 아키텐-피레네 그룹에, 나머지 랑그도크 방언을 중앙 오크어 그룹에 배치한다.
  • 도메르그 수미엥은 이러한 랑그도크 방언을 유사하게 분류하지만, 아키텐-피레네 및 중앙 오크어를 모두 프리-이베리아라는 제목으로 묶는다.


5. 1. 쥘 롱자(Jules Ronjat)의 분류

쥘 롱자(Jules Ronjat)는 랑그도크 방언을 세 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었다.[2]

  • 동부 랑그도크 방언: 알레지앵, 몽펠리에랭, 로데부아, 비테루아 (비테루아는 서부 랑그도크 방언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음).
  • 서부 랑그도크 방언: 나르본네, 카르카손네, 툴루쟁 (푸제앵 및 캅시누아 포함), 알비제, 몽토발라네, 아제네 (아제네는 기옌 방언 및 가스코뉴 방언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음).
  • 기옌 방언: 루에르가, 제보다네 (로제르, 세벤), 케르시누아, 오리야코아, 사를라데, 베르제라코아.


쥘 롱자는 바-비바로아를 랑그도크 방언으로 분류하지만, 위의 세 그룹과는 별개로 취급한다.

5. 2. 루이 알리베르(Louis Alibert)의 분류

루이 알리베르(Louis Alibert)는 랑그도크 방언을 네 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었다.[6]

  • 동부 방언: 세베놀, 몽펠리에랭, 비테루아.
  • 남부 방언: 툴루쟁, 푸제앵, 도네자네, 나르본네, "중앙" (카르카손네), 아제네.
  • 서부 방언: 베르제라코아, 빌뇌부아, 사를라데, 오-케르시누아, 바-케르시누아, 알비제.
  • 북부 방언: 오리야코아, 루에르가, 제보다네.

5. 3. 도메르그 수미엥(Domergue Sumien)의 분류

도메르그 수미엥(Domergue Sumien)은 랑그도크 방언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5]

방언하위 방언
동부 방언세베놀, 몽펠리에랭
남부 방언툴루쟁, 푸제앵, 도네자네, 나르본네, 카르카손네
서부 방언바-케르시누아, 알비제, 아제네, 비테루아
북부 방언베르제라코아, 빌뇌부아, 사를라데, 오-케르시누아, 오리야코아, 루에르가, 제보다네, 바-비바로아




6. 상위 방언 분류

피에르 베크(Pierre Bec)와 도메르그 수미엥(Domergue Sumien)은 오크어의 상위 방언 분류에서 랑그도크 방언을 한두 개의 상위 방언 그룹으로 나눈다.[5]


  • 피에르 베크는 남부 랑그도크 방언을 아키텐-피레네 그룹에, 나머지 랑그도크 방언을 중앙 오크어 그룹에 배치한다.[7]
  • 도메르그 수미엥은 랑그도크 방언을 피에르 베크와 유사하게 분류하지만, 아키텐-피레네 및 중앙 오크어를 모두 프리-이베리아라는 이름으로 묶는다.[8]


7. 사용 현황

언어 인구 조사가 없어 정확한 화자 수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오크어 전체 화자 수는 가장 최근의 세계적인 연구에서 50만 명에서 70만 명 사이로 추정하고 있다.[9] 유네스코는 랑그도크 방언을 독립적으로 취급하는 유일한 기관으로, 화자 수를 약 50만 명으로 추산하며 심각한 멸종 위기에 놓인 언어로 간주하고 있다.[10]

8. 랑그도크어 관련 인물

곤충기를 저술한 장앙리 파브르랑그도크 출신으로, 오크어 보호 운동(펠리브리주)에 참여했으며, 스스로도 랑그도크어로 를 썼다.

참조

[1] 문서 e15
[2] 서적 Grammaire istorique [sic] des parlers provençaux modernes Société des langues romanes
[3] 서적 Languedocian: A Central and Interface Dialect within Occit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4] 서적 Memento grammatical de l'occitan référentiel Cap e cap
[5] 서적 Classificacion dei dialèctes occitans
[6] 서적 Gramatica occitana segon los parlars lengadocians
[7] 서적 Manuel pratique d'occitan moderne Picard
[8] 서적 La standardisation pluricentrique de l'occitan: nouvel enjeu sociolinguistique, développement du lexique et de la morphologie Brepols
[9] 간행물 Qui parle occitan ? 2007-12
[10] 웹사이트 UNESCO Interactive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s://ich.unesco.o[...] 2021-09-06
[11] 웹사이트 ラングドック語辞書 http://occitan.lang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